코딩 배우는 중/Java

JAVA : 변수

inns21 2023. 2. 24. 23:57

 

변수란 무엇인가

: 변하는 수

변하는 수를 작성하려면

변수를 담을 그릇을 정해야 합니다.

물은 물컵에

과자는 봉지에 담는 것처럼

어느 곳에 담을 건지를

생각해야 해요

물을 종이 박스에 담아버리면

물이 안담기겠쥬?

담을 그릇은 변수의 자료형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자료형은 여러 개가 있는데

기본으로 제공되는 기본 자료형은

 
정수형
(양수, 음수, 0)
문자형
실수형
논리형
(참, 거짓)
1바이트
byte
   
boolean
2바이트
short
char
   
4바이트
int
 
float
 
8바이트
long
 
double
 

8가지의 자료형이고

참조 자료형이 또 따로 있습니다(Sting)

바이트는 공간의 크기를 뜻하며

바이트가 클수록 더 넓은 범위의 값을 넣을 수 있는데

컴퓨터가 연산을 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는 4바이트여서

4바이트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그냥 int 많이 쓴다는 뜻)


자료형을 사용하는 방법은

자료형 (변수명) = 변수;

로 씁니다

한 줄을 풀어헤쳐서

자료형 (변수명);

변수명 = 변수;

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 [ 자료형 (변수명); ] 은 변수를 선언했다고 말하며

[ 변수명 = 변수; ]는 변수를 초기화했다고 합니다.

예를 들자면

나이를 입력한다고 했을 때

나이는 숫자이니 int를 사용하고

변수명을 나이임을 알기 쉽도록 age로 설정

그리고 변수에는 제 나이를 넣는 거죠.

int age = 24;

위의 식을 풀어서 이야기하면 age라고 하는

정수를 담을 수 있는 상자에 24라는 숫자를 담았다!

ㅇㅋ?

참고로 프로그램에서 =기호는 같다는 표시가 아닌

'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대입한다 '라는 의미로 사용합니다.

몇 가지를 더 해보자면

int year = 2023;

int level = 200;

이렇게 해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어떻게 쓰는지 알았다면

각 자료형을 어떻게 쓸지도 알아야겠쥬?

int는 위에서 해봤고

byte나 short, double의 경우에도

똑같이 쓰면 됩니다

하지만 long과 float의 경우 사용하는 방법이 조금 다른데요

이 두 가지의 경우는 숫자 뒤에 식별자라는 것을 붙여야 합니다.

 

long 같은 경우에는 숫자 뒤에 l 또는 L

float 같은 경우에는 숫자 뒤에 f 또는 F

 

다음으로는 문자 자료형

문자의 경우에는 작성할 때 작은따옴표(' ')를 사용하면 됩니다

문자열의 경우에는 큰따옴표(" ")를 사용하는데

일단 char의 경우에는 문자 자료형이기 때문에 작은따옴표!

논리 자료형인 boolean은

true와 false 두 가지의 값만 대입할 수 있고

결괏값도 두 가지만 출력됩니다


변수명 같은 경우에는 다른 사람이 봐도

무슨 값인지 알 수 있도록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나이를 적을 건데 변수명을 skdl라고 적어두면

한눈에 알아보기 쉽지 않죠?

이외에도 변수명을 짓는 데에는

몇 가지 규칙이 존재합니다

1) 특수문자는 $, _만 사용 가능

2)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3) 자바에서 사용하는 예약어는 사용 불가 (ex. int, byte...)

위의 제약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자바에서 오류가 납니다.

이외에도

소문자로 시작하기,

중간에 다른 뜻의 단어가 등장할 때

첫 글자를 대문자로 사용하기(카멜 표기법)가 있습니다

카멜 표기법은

중간에 튀어나오는 대문자가 낙타 등과 같다고 해서

이렇게 불리는데

작성법은 studentName, empolyeeName으로 쓴답니다

오늘의 자습 여기까지 ~

'코딩 배우는 중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 객체, 클래스  (0) 2023.02.28
JAVA : 배열  (0) 202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