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7

Django : (2) 프로젝트 생성하기

앞에서 만든 가상환경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에 프로젝트를 담을 projects파일 생성하기 ● 프로젝트 생성하기 VSCode에서 cmd 창에서 가상환경 실행 후 입력 django-admin startproject (프로젝트명) ● 서버 실행하기 생성한 프로젝트 내부로 들어와서 서버 실행하기 py manage.py runserver python manage.py runserver 127.0.0.1:8000/ 을 주소창에 입력하거나 cmd 창에 있는 주소를 ctrl + 클릭하면 서버가 열립니다 ● 프로젝트 내부에 앱 생성하기 앱은 프로젝트 내부에 여러 개가 생성될 수 있으며 보통 하나의 앱은 하나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py manage.py startapp 앱이름 myapp이라는 프로젝트 안에 app이라는 이름..

Django : (1) 개발 환경 준비하기

● 파이썬 가상 환경 준비하기 : 파이썬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독립된 환경을 만들어주는 도구로 하나의 데스크탑에 서로 다른 버전의 파이썬을 설치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1) VSCode에서 작업 영역으로 사용할 폴더를 추가한 후 ctrl + `(backtick)를 눌러 터미널 실행, cmd로 변경 2) cmd화면이 작업 영역에 들어와있는지 확인하고 가상 환경을 만들 폴더 생성 3) venv 폴더가 생성되었으면 venv 폴더 내부로 진입 후 py -m venv venv 입력 이후에 작업 영역에 venv 파일에 venv 가상환경이 만들어졌는지 확인하기 4) activate 명령을 통해 가상환경에 진입하기 venv 파일 안에 venv 라는 이름을 가진 가상환경안에 Scripts 폴더 내부에..

Python : 리스트

리스트 : 여러 개의 값을 집합적으로 저장 : [ ] 안에 요소(값)를 콤마(,)로 구분하여 나열한다 ● 리스트 생성하기 리스트명 = [ ] 리스트명 = list( ) ● 리스트 개별 요소 출력하기 [ ] 안에 출력하고자 하는 요소의 순서를 적는다 순서는 0번부터 시작하며 뒤쪽에서부터 번호를 매기면 -1부터 시작한다 mylist = [ 1, 2, 3, 4, 5, 6 ] print(mylist [0]) # 1 출력 print(mylist [2]) # 3 출력 print(mylist [-2]) # 5 출력 범위를 지정하여 일부 요소를 꺼낼 수도 있다 [ begin : end : step ] mylist = [ 1, 2, 3, 4, 5, 6 ] print(mylist [0:4]) # 0번부터 4 -1까지 [1..

Python : 함수, 인수

함수 : 프로그램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코드를 하나의 기능으로 묶어서 사용 ● 함수 정의 def 함수명(인수 목록) : # 기능 ( 하나의 함수에는 하나의 기능) ● 함수 호출 함수명(인수 목록) 함수의 이름만 작성하고 재생하면 type()함수와 비슷하게 생긴 정보가 뜸 ● pass 명령 def 함수명(인수목록) : pass #기능을 정의하지 않고 실행하면 에러가 발생하는데 그 에러를 방지 ●리턴값 : 함수의 실행 결과를 호출원으로 돌려주는 값 : 꼭 리턴값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님 : 단, 리턴값이 없는 함수는 값이 아니기 때문에 변수에 대입하거나 수식내에 사용하면 오류남 인수 : 함수로 전달되는 매개변수 : 아예 없을 수도 있고 개수에도 제한이 없다 형식 인수 : 함수 정의문의 인수 실인수 : 함수 호..

Python : 기본 구조, 변수

주요 특징 - ;이 있든 없든 상관이 없다 - 중괄호나 괄호의 사용이 자바에 비해 적으며 들여쓰기가 중요하다 - # 주석 달기 ● 입력하기 변수 = input('질문 내용') input으로 입력받은 값은 항상 문자열이다. 숫자를 입력받아 계산을 하려고 하면 정수로 바꿔줘야 함 ● 출력하기 print( 출력 내용) 출력 옵션 , sep=구분자 , end=끝 문자 입력과 출력을 할 땐 하나의 값이 아닌 여러개의 값을 동시에 쓸 수 있다 ● 변수 파이썬의 변수는 타입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int num = 10; // 자바 num = 10 # 파이썬 변수에 저장하는 값에 따라 변수의 타입이 바뀌며 이러한 특성을 동적 타입이라고 한다. 데이터의 타입을 확인하고 싶을 땐 type(변수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JAVA : 객체, 클래스

객체 : 눈에 보이는 사물, 어떤 행동을 나타내는 단어 클래스 : 객체의 속성(멤버 변수)과 기능(메서드)을 코드로 구현한 것 (= 클래스를 정의한다) 멤버변수 : 객체의 속성을 나타내는 변수 메서드 : 객체의 기능을 구현하는 함수 (접근제어자) class 클래스명 { //클래스명은 대문자로 시작 멤버 변수; 메서드 : 함수의 한 종류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코드 : 이름, 입력값, 결과값을 가지며 함수를 수행한 후 결과로 되돌려 주는 반환값(result)을 가진다 } ● 메서드 (접근 제어자) String text(String t1, String t2) { String result; result = t1 + t2; return result; } // String부분 = 반환값의 자료형을 적는 ..

DB : 오라클 함수

● 문자 함수 UPPER(문자열) : 문자열 데이터를 모두 대문자로 변환하여 반환 LOWER(문자열) : 문자열 데이터를 모두 소문자로 변환하여 반환 INITCAP(문자열) : 문자열 데이터를 첫 글자는 대문자, 나머지는 소문자로 변환하여 반환 LENGTH(문자열) : 문자열의 길이 반환 LENGTHB(문자열) : 문자열의 byte 수를 반환 SUBSTR(문자열, 시작위치, 추출길이) : 문자열 데이터의 시작 위치부터 추출 길이만큼 추출 INSTR(문자열, '검색할 문자열', 시작위치, 문자의 위치) : 문자열 안 특정 문자가 어디 포함되어 있는지를 반환 REPLACE(문자열, '찾는 문자', '대체할 문자') : 특정 문자를 다른 문자로 대체하여 반환 -- 대체할 문자를 지정하지 않으면 삭제하여 반환 ..

DB : SELECT문 사용하기

SELECT문 :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 ● 테이블의 정보 조회 DESC 테이블명; ● 테이블에 있는 전체 정보 조회 SELECT * FROM 테이블명; ● 테이블에서 필요한 열의 전체 정보 조회 SELECT 컬럼 이름1, 컬럼 이름2, 컬럼 이름3 FROM 테이블 명; ● 중복 데이터 삭제해서 데이터 조회 -- 열 1과 열 2, 열 3의 모든 데이터가 동일할 경우 데이터가 하나만 조회된다 SELECT DISTINT 컬럼 이름1, 컬럼 이름2, 컬럼 이름3 FROM 테이블명; ● 열에 별칭 지정하기 (alias) - 방법1) 칼럼연산식 별칭 - 방법2) 칼럼연산식 "별칭" - 방법3) 칼럼연산식 AS 별칭 -- 주로 사용 - 방법4) 칼럼연산식 AS "별칭" ● 데이터 원..

DB :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베이스 (Data Base) 데이터 : 아직 정제되지 않은 값이나 자료들 정보 : 데이터를 정리한 결과 : 여러 사람이 공유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와 검색을 위한 데이터의 집합 DBMS (Data 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 모델 :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나눈 것 계층형, 네트워크형, 관계형, 객체 지향형 등이 있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RDBMS :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구성 요소 테이블 : 데이터 저장 공간 행(row) : 하나의 개체를 구성하는 여러 값 (ex. 20230312, 홍길동, 38 등) 열(column) : 저장하는 데이터의 대표 이름이나 특..

API and PROTOCOL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두 소프트웨어 구성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거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서버에서 값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자 종류 SOAP API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RPC API Websocket API 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가장 많이 사용되는 API Protocol : 상호 간 원활한 교류, 소통, 통신을 위해 서로 동일하게 설정이나 규칙을 정함 브라우저와 서버 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방식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HTML로 제작된 웹페이지를 제공, 제어하는 프로토콜